반응형 Dev./Server6 uwsgi vs gunicorn Python 기반의 WebFramework Django 를 사용하게 되면 항상 사용하던 웹서버가 uwsgi 였습니다. 많은 Django 베이스의 프로젝트가 Django + uwsgi + nginx 조합으로 배포하고 그만큼 부담없이 사용했었습니다. 또한 많은 개발자들이 uwsgi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, 그렇기에 저도 uwsgi 를 당연스럽게 사용했습니다. 그런데, oracle cloud 를 사용하면서 uwsgi 가 자꾸 죽고, reload 가 되지 않으며, 셋팅오류를 뱉어내는 것이었습니다. 그러다가 온라인을 찾아보니 uwsgi가 다른 웹서버들(gunicorn, cherrypi, Bjoern)들에 비하여 굉장히 무겁다는 (자원을 많이 소모하고, RAM/CPU 사용량이 높다) 이야기를 몇몇 블로그를 통하여 .. 2023. 2. 10. 오라클 클라우드를 접속하기 위한 프로그램 셋팅 처음 오라클 세팅만 마치면 전 프로그램을 먼저 세팅했습니다.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- Putty - VSCode - DBeaver - Filezilla 위 프로그램들은 모두 무료로 사용할 수 있기에 머 다른 프로그램들도 많지만, 위에 것들로 적응해 가려 합니다. 다른 프로그램에 다시 익숙해지는 것도 이제 쉽지 않네요. 모든 것을 하기 전에 오라클 클라우드에서 사전 작업이 필요합니다. VM인스턴스 생성시 필요 작업이 있습니다. https://www.wsgvet.com/cloud/5 오라클 클라우드 인스턴스 생성 및 SSH 접속하기 > 클라우드 | 우성짱의 NAS 1. VM 인스턴스 생성하기위와 같이 왼쪽 위의 ORACLE Cloud 글자를 클릭하면 홈으로 돌아옵니다.그 후 VM 인스턴스 생성을 클릭합니다.위.. 2023. 1. 11. 접속을 위한 iptable 정리 앞서 mariadb 설정을 마무리하고, 외부에서 홈페이지 접속 및 관리를 위한 포트를 열어주어야 합니다. $ sudo yum install iptables-services-> iptable 정리를 위해 설치 $ sudo iptables -I INPUT -p tcp --dport 3306 -j ACCEPT-> 3306 포트 오픈 $ sudo iptables -I INPUT 5 -i ens3 -p tcp --dport 80, 8000 -m state --state NEW, ESTABLISHED -j ACCEPT ( 80, 8000 번 포트 오픈) $ iptables config-> /etc/sysconfig/iptables $ sudo systemctl daemon-reload (데몬 재시작) $ sudo .. 2023. 1. 4. MariaDB 설치 세팅 후 초기 세팅을 마치면 이제 mariadb를 설치할 준비를 합니다. http://yum.mariadb.org Index of /yum/ mirror.mariadb.org 아래 폴더로 이동하여 mariadb 등록을 확인합니다. $ cd /etc/yum.repos.d/ 내용이 없을 경우 편집기로 아래 내용을 추가합니다. $ sudo vi MariaDB.repo [mariadb] name = MariaDB baseurl = https://yum.mariadb.org/10.6.5/centos74-amd64 gpgkey = https://yum.mariadb.org/RPM-GPG-KEY-MariaDB gpgcheck = 1 baseurl 과 gpgkey 의 주소는 위에 표기한 yum.mariadb.org 에.. 2023. 1. 3. 이전 1 2 다음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