처음 오라클 세팅만 마치면 전 프로그램을 먼저 세팅했습니다.
사용하는 프로그램은
- Putty
- VSCode
- DBeaver
- Filezilla
위 프로그램들은 모두 무료로 사용할 수 있기에
머 다른 프로그램들도 많지만, 위에 것들로 적응해 가려 합니다.
다른 프로그램에 다시 익숙해지는 것도 이제 쉽지 않네요.
모든 것을 하기 전에 오라클 클라우드에서 사전 작업이 필요합니다.
VM인스턴스 생성시 필요 작업이 있습니다.
https://www.wsgvet.com/cloud/5
오라클 클라우드 인스턴스 생성 및 SSH 접속하기 > 클라우드 | 우성짱의 NAS
1. VM 인스턴스 생성하기위와 같이 왼쪽 위의 ORACLE Cloud 글자를 클릭하면 홈으로 돌아옵니다.그 후 VM 인스턴스 생성을 클릭합니다.위와 같이 매우 설정할 것이 많아 보입니다. 하지만 실제로는 그
www.wsgvet.com
이 분 블로그를 참조하시면, 자세히 잘 설명해 주셨습니다.
저는 간단히...
위의 전용키를 저장해 두셔야 차후에 SSH를 연결 할 수 있습니다.
잊으면 아니아니 아니되요~
인스턴스 생성부터 다시 해야 합니다.
제가 진행했을때는 인스턴스 설정 후 SSH 키 받는 부분을 못 찾았어요.
시간이 아까우어요~ ㅠㅠ
오~
위에 작성하신 분이 너무 자세하게 잘 정리해 놓으셨네요.
제가 작성안해도 되겠어요. ㅎㅎㅎ
1. PUTTY ( 사이트링크 )
제너레이터를 통하여 key 파일을 생성하면,
해당 파일을 VSCode 와 DBeaver 에서 모두 사용합니다.
저장할 위치를 정하여 차후 연결에서 해당 파일을 선택하시면 됩니다.
2. VSCode ( https://code.visualstudio.com/ )
VSCode 를 다운로드 받고 저는 Remote - SSH 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.
VSCode 도 정리를 잘 해주신분이 계시네요.
https://gogoonbuntu.tistory.com/16
Oracle Cloud Infrastructure + Remote SSH in VSCode 작동 성공!
오라클에서 완전무료 서버를 제공해서 신나게 연구하고 사용해보는 중이다. Ubuntu 18.04 버전이다. 요로코롬 생긴 Remote-SSH Extension이다. 너무 유명하니 상세설명은 패스! 그러면 F1 단축키를 통해
gogoonbuntu.tistory.com
3. DBeaver ( https://dbeaver.io/download/ )
DBeaver 설치 후 데이터베이스에서 MySQL 을 선택 후
SSH 탭으로 이동하여
Use SSH 터널을 체크하고,
Authentication Method : Public Key 로 변경한 후
키 파일은 PuTTy 제너레이터에서 생성하여 저장한 파일을 찾아 선택해주고,
나머지 설정을 세팅해 놓은 값에 맞게 입력 한 후 Test Connection 을 클릭하여 연결을 확인합니다.
이후 Main 탭에서
세팅하신 정보를 기입 한 후 Test Connection 을 클릭하여 연결확인을 하면 마무리 됩니다.
4. Filezilla ( https://filezilla.softonic.kr/ )
파일질라 설치 후
프로토콜을 SFTP 로 변경하고,
로그온 유형을 키파일로 변경한 다음
키파일 찾아보기에서 PuTTy 제너레이터에서 생성 저장한 key 파일을 선택하고,
호스트 ip 주소와 사용자 입력 후 연결을 클릭하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접속됩니다.
이로써,
오라클클라우드에서 기본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앱들의 설정을 마무리 했습니다.
작성을 마치고 읽어보니
두서없이 우당탕탕으로 작성했네요.
이해하시리라 생각하고
전 이만~ 뿅~~~~~~ ^^
다음에 다시 뵐게요~
'Dev. > 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wsgi vs gunicorn (0) | 2023.02.10 |
---|---|
접속을 위한 iptable 정리 (0) | 2023.01.04 |
MariaDB 설치 (0) | 2023.01.03 |
초기 설치 후 기본 셋팅 (0) | 2023.01.03 |
웹서버의 선택 (0) | 2022.12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