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세팅 후 초기 세팅을 마치면 이제 mariadb를 설치할 준비를 합니다.
Index of /yum/
mirror.mariadb.org
아래 폴더로 이동하여 mariadb 등록을 확인합니다.
$ cd /etc/yum.repos.d/
내용이 없을 경우
편집기로 아래 내용을 추가합니다.
$ sudo vi MariaDB.repo
[mariadb]
name = MariaDB
baseurl = https://yum.mariadb.org/10.6.5/centos74-amd64
gpgkey = https://yum.mariadb.org/RPM-GPG-KEY-MariaDB
gpgcheck = 1
baseurl 과 gpgkey 의 주소는 위에 표기한 yum.mariadb.org 에서 제공되는 버전을 기입합니다.
이제 mariadb 를 설치합니다.
$ cd /home/opc <- 기본 폴더로 이동
$ sudo yum install mariadb mariadb-server <- mariadb 설치
$ rpm -qa | grep -i mariadb <- mariadb 설치확인
$ sudo systemctl start mariadb <- mariadb 실행
$ mysqladmin -u root passwod <- DB 관리자 비밀번호 입력
$ sudo systemctl enable mariadb <- 시스템 부팅시 자동실행 등록
$ mysql -u root -p <- db 접속
> use mysql;
( mysql db 사용 )
> select host, user, password from user;
( host, user, password 를 user 테이블에서 조회 )
> grant all privileges on *.* to 'test'@'%' identified by 'test';
( 신규 사용자등록 및 비밀번호 설정 )
> flush privileges;
( 위 grant 내용 DB에 적용 )
$ vi /etc/my.cnf <- mariadb 설정 변경
[mysqld]
default_storage_engine = innodb
lower_case_table_names = 1
character-set-server = utf8mb4
[client]
port = 3306
default-character-set = utf8mb4
[mysqldump]
default-character-set = utf8mb4
[mysql]
default-character-set = utf8mb4
$ systemctl restart mariadb <- 설정 적용을 위해 maraidb 재실행
위와 같이 하여 mariadb 의 기본적인 설정 완료.
반응형
'Dev. > 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wsgi vs gunicorn (0) | 2023.02.10 |
---|---|
오라클 클라우드를 접속하기 위한 프로그램 셋팅 (0) | 2023.01.11 |
접속을 위한 iptable 정리 (0) | 2023.01.04 |
초기 설치 후 기본 셋팅 (0) | 2023.01.03 |
웹서버의 선택 (0) | 2022.12.02 |